프로그래밍 (51) 썸네일형 리스트형 [우분투] ubuntu 에서 root 계정 초기 비밀번호 설정하기 $ sudo passwd root 비밀번호 설정하라고 나오면비밀번호 설정 하고 사용하면 됨 ssh로 리눅스간 원격접속 리눅스에서 리눅스로 원격 접속을 하고자 할 때 ssh를 통해 접근 할 수 있음 # ssh 계정@IP ex) 접속하고자 하는 원격 호스트 ID가 kk, IP가 192.168.1.6 이면# ssh kk@192.168.1.6 password 입력 후 원격 쉘을 얻을 수 있음 boost library(부스트 라이브러리) thread_data.hpp:152: undefined reference to `vtable for boost::detail::thread_data_base' 문제 해결 thread 사용 시 문제 발생 link 에러g++ linker 옵션에 -lboost_thread 추가 [Eclipse 에서 linker 옵션에 추가 하는 방법]Eclipse 메뉴 - Project - Properties - C/C++ Build - SettingsTool Settings 탭 - Cross G++ Linker - Miscellaneous - Linker flags 에 추가 boost library(부스트 라이브러리) undefined reference to 'boost::system::generic_category()' 문제 해결 #include "boost/thread.hpp" 를 코드에 추가하고 빌드하면 발생 g++ linker 옵션에 -lboost_system 항목을 추가 해줘서 해결 [Eclipse 에서 linker 옵션에 추가 하는 방법]Eclipse 메뉴 - Project - Properties - C/C++ Build - SettingsTool Settings 탭 - Cross G++ Linker - Miscellaneous - Linker flags 에 추가 boost library(부스트 라이브러리) 사용법 c++ 개발 시 아주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한다. 아래에서 boost 라이브러리 다운로드http://www.boost.org/ 설치 (리눅스, Eclipse 사용 시)적절한 위치에 압축을 푼다.Eclipse 메뉴 중 Project-properties-C/C++ General-Paths and Symbolsincludes 탭에서 Languages (GNU C or GNU C++)선택 후 Add 버튼을 누른다.File system 버튼을 눌러 boost 디렉토리를 지정해준다.Add to all configurations에 체크 후 OK 버튼을 누른다. [CentOS 7]부팅 시 root 로 자동 로그인 되게 하는 방법 리눅스 명령쉘에 아래 명령어 입력#gedit /etc/gdm/custom.conf [daemon] 아래에 아래 설정 추가AutomaticLoginEnable=trueAutomaticLogin=root [CentOS 7] login 시 스크립트 설정 (/etc/profile) /etc/profile 파일 안에 root login 시 실행 될 명령어 추가 #gedit /etc/profile 예) 파일 권한 설정이 필요할 때 아래 명령어를 profile 안에 추가chmod 777 /dev/ttyS0chmod 777 /dev/ttyS1chmod 777 /dev/ttyS2chmod 777 /dev/ttyS3chmod 777 /dev/ttyS4... root login 시만 적용된다. 일반 사용자 login에는 적용하는 방법을 아직 모른다. 참고 : 본 블로그의 CentOS 7에서 부팅 시 root 로 자동 로그인 되게 하는 방법 소켓(socket)? 이전 1 2 3 4 5 6 7 다음